본문 바로가기
심리/연애 심리

막말을 하는 남자친구 (불안형 애착 유형, 특징, 원인, 해결 방법)

by 눕떡 2023. 10. 3.
반응형

막말을 하는 남자친구
사실은 상대방이 떠나갈까봐 매우 두려워한다. 
여자친구의 자존감을 낮춰서 자신을 떠나가지 않기를 바라는 것이다. 
해결 방법은 그 방법이 먹히지 않다는 것을 확실하게 보여줘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악순환이 될 것이다.
 
그 사람은 바로 불안형 연애 성향을 가진 사람
상대방의 입장에서 생각하지 못하고 모든 사고가 자기 중심적인 경향이 있다.
불안을 해소시켜주는 행동은 불안형 애착의 활성화 전략을 강화시키는 것과 같다.
 
서로 관계가 좋을 땐 문제가 없다.
불안형이 이별을 하게 될 경우 특징이 극단적으로 나뉜다.
1. 극단적으로 매달리는 모습
2. 상대적인 분노로 인해 완전히 외면하는 회피형 행동 모습
(여자친구의 잘못으로 몰아가 매달리도록 만듦)
 
불안형과의 재회
불안형은 때론 안정적으로 잘 다룰 수 있다면 긍정적인 면으로 전환 가능 (심각한 수준인 경우 제외)
 
불안형 애착의 발생 원인
주 양육자가 자신의 기분에 따라서 애정을 보이는 수준이 극단적인 차이를 보일 때, 아동은 사랑을 받을 때와 그렇지 않을 때의 차이가 워낙 크게 발생하기 때문에 나를 사랑해준 사람이 이 세상에서 사라진 느낌을 받으며 불안형 애착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환경에서 양육될 경우, 주 양육자가 자신을 버릴까 두려워하는 착한 아이 증후군이 나타난다.
착한 아이 증후군은 성인이 되어서도 버림받고 싶지 않다는 생각에 과도하게 노력하고 타인의 도움 요청을 적극적으로 도와 자신이 좋은 평가를 받길 원한다. 하지만 이러한 행동은 과도한 경우가 많아 좋은 일을 하고도 좋은 평가를 받기 힘들다.
 
불안형 애착을 가진 남자는 자신이 사랑받는다는 느낌을 받지 못할 때 (스스로 그렇게 생각할 때) 바로 감정적인 반응이 나타난다. 애정을 확인하기 위한 요구 조건이 늘어나고 이를 확인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면 폭력적인 모습을 보이거나 극단적으로 행동한다. 
 
주변 사람들 특히 부모님을 잘 챙겨 주변 사람들의 신뢰가 매우 높은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행동은 그 사람이 내 주변 사람을 잘 챙겨주기 위해서가 아닌 나 또한 자신의 부모나 주변 사람들에게 그렇게 하라는 의도와 자신의 좋은 평가를 유지함으로서 여자친구가 자신의 억압이나 구속에 저항하지 못하게 하려는 목적을 가진다. 
 
안심을 시켜줄수록 집착의 정도는 강해진다.
 
애초에 의존할 대상이 없다면 나타나지 않을 불안이다. 
 
그 사람의 애착 유형은 당신이 만든 것이 아닌 그 부모가 만들었기 때문에 그러한 사람의 문제는 당신 잘못이 조금도 없다는 것을 기억하자
 
불안형 남자친구와 소통 방법
1. 아무리 사소한 일이라도 오해의 소지가 있으면, 그것은 불안을 야기할 수 있다. 항상 자신의 의도, 기분, 생각을 명확하게 전달하는 습관을 들이자
2. 문제를 구체적으로 지적하고 비판보다는 해결책 제시하기
3. 안정감을 느낄 수 있는 방법을 사용하기 (명확한 시간과 장소를 지정하는 표현하기)
 
불안형 남자친구와 잘 지내는 법
1. 안정감을 주기 - 약속을 잘 지키고 예측 가능한 행동을 하는 것만으로도 상대방의 불안감을 크게 줄일 수 있다.
특히 중요한 약속, 시간, 계획에 대해서 미리 미리 명확히 전달하고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
2. 작은 행동 하나하나에도 민감할 수 있기에 소소한 케어가 큰 의미를 가질 수 있다.
3. 본인의 경계를 명확하게 설정하고 상대방의 불안감에 따라 유연하게 그 경계 조절하기
4. 사랑과 존경, 그리고 이해와 같은 긍적적인 감정을 명시적으로 표현하기 


추가로 착한 아이 증후군에 대해서도 간단히 알아보았다.
 
착한 아이 증후군이란?
어른이 되어서도 자신의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하지 못하고, 착한 사람으로 남기 위해 욕구나 소망을 억압하면서, 지나치게 노력하는 것
이는 상대에게 버림받고 싶지 않거나 사람을 받고 싶을 때, 나타나는 행동으로 불편한 자신의 감정을 나타내지 않고, 자기주장 결핍증으로도 볼 수 있다.
 
착한 아이 콤플렉스가 생기는 이유
부모가 아이의 내면의 욕구나 좋고 싫음의 목소리를 듣는 능력을 갖추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는 자신의 기대에 부합하는 행동을 할 때만 '착한 아이' 라고 생각하는 부모나 엄격한 집안 교육 때문이다. 이와 같은 환경이 인간의 기복적 욕구인 유아적 의존 욕구를 억압할 수 있다. 
 


https://blog.naver.com/curerelation/221520050241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32581640&memberNo=34980552 

https://m.blog.naver.com/highlove7133/221693268165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1205370&memberNo=34980552 

https://naaso.net/%eb%b6%88%ec%95%88%ed%98%95-%eb%82%a8%ec%9e%90-%ec%b9%9c%ea%b5%ac%ec%99%80-%ea%b1%b4%ea%b0%95%ed%95%9c-%ea%b4%80%ea%b3%84%eb%a5%bc-%ec%9c%a0%ec%a7%80%ed%95%98%eb%8a%94-%eb%b0%a9%eb%b2%95/

https://naaso.net/%eb%b6%88%ec%95%88%ed%98%95-%ec%95%a0%ec%b0%a9-%eb%82%a8%ec%9e%90-%ec%b9%9c%ea%b5%ac%ec%99%80-%ec%9e%98-%ec%a7%80%eb%82%b4%eb%8a%94-%ec%a0%84%eb%9e%b5/ https://ko.wikipedia.org/wiki/%EC%B0%A9%ED%95%9C%EC%95%84%EC%9D%B4_%EC%BD%A4%ED%94%8C%EB%A0%89%EC%8A%A4

반응형